목록전체 글 (8)
개발자가 되고 싶은 학생의 정리노트
자료구조란? -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구조를 의미 - 코드상에서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특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데이터를 구조화해야함 --> 어떤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코드 효율이 달라지기 때문 대표적인 자료구조 - 배열, 스택, 큐, 링크드 리스트, 해쉬 테이블, 힙 등 알고리즘이란? -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한 절차/방법 - 어떤 문제에 대해, 특정한 입력을 넣어서 원하는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 시간/ 저장공간의 효율성을 주로 따짐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 중요한 이유 - 어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쓰느냐에 따라, 성능이 천지차이다.
태그 폼은 정보를 저장하거나, 검색, 수정하는 일에 주로 쓰인다. 이러한 일들을 서버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한다. 속성 method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들을 서버 쪽 프로그램으로 어떻게 넘겨줄지 지정 속성값 get - 주소 표시줄에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 그대로 드러난다. post -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 드러나지 않음 name 폼의 이름을 지정 action 태그 안의 내용들을 처리해 줄 서버 상의 프로그램을 지정 target 태그에서 지정한 스크립트 파일을 현재 창이 아닌 다른 위치에 열도록 지정 autocomplete 자동 완성 기능이라고 하며 사용자가 입력했던 내용을 기억했다가 비슷한 내용을 입력할 경우, 이전에 입력했던 내용을 힌트로 보여줌. 기본적으로는 on 상태임. 태그 보통 옆에 붙인다..
shape : default, rect, circle, poly target : _blank, _parent, _self, _top, 프레임이름 rel : 현재 문서와 링크 문서 사이의 관계 지정 download
HTML 이란? HTML이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해석하면 하이퍼텍스트를 마크업하는 언어. *하이퍼텍스트 : 웹 사이트에서 링크를 클릭해 다른 문서나 사이트로 즉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함 *마크업 : 태그를 사용해 문서에서 어느 부분이 제목이고 본문인지, 어느 부분이 사진이고 링크인지 표시하는 것. HTML 기본구조 는 문서의 시작과 끝을 표시해주는 HTML 기본구조이다. 태그 문서 유형을 지정하는 선언문 태그 웹 문서 시작을 알리는 태그 *속성 lang ex) lang="ko" 태그 문자 인코딩 및 문서 키워드, 요약 정보 *속성 name/content/charset ex) HTML 검사기 HTML 문법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React Hooks useState 컴포넌트의 상태를 관리해줌. state : 컴포넌트의 동적인 값 useRef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쓰임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는 콜백함수 or React.createRef 라는 함수를 씀 .current 값으로 원하는 DOM을 가르킬 수 있음 useEffect deps 에 빈 배열을 넣을 때 마운트 useEffect(()=>{ console.log('마운트'); return () => { console.log('언마운트'); }; }, [])//빈배열 컴포넌트가 마운트 되었을 때 콘솔에 마운트가 올라감. 첫번째 파라미터에는 함수, 두번째 파라미터에는 배열을 넣는데, 빈 배열 [] 을 집어넣으면 컴포넌트가 처음 나타날때에만 useEffect 함..

1. react-native-cli 설치 npm install -g react-native-cil yarn global add react-native-cli 2. 프로젝트 생성 및 실행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를 생성할때는 init 옵션을 넣어서 만든다. 내가 있는 경로 하위에 프로젝트 폴더가 생긴다. 이 명령어는 실제 리액트 네이틴브 프레임워크 코드를 프로젝트에 포함하게 하는데 이는 이 명령어 안에 npm install react-native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react-native init ['프로젝트 명'] cd ['프로젝트 명'] 3. 프로젝트 실행 (Simulator/Emulator) Android windows+R->appdata->Local->Android..

안드로이드에 유용한 DataBinding 이용하기 DataBinding이란? 데이터 바인딩을 사용하면 findViewById() 작업 없이 자동으로 xml에 만든 View들을 만들어준다. RecyclerView에서 각각의 item을 set해주는 작업도 xml에서 일련의 작업을 통해 알아서 값이 들어간다. 값이 바뀌면 알아서 바뀐 값으로 View를 변경하게 할 수도 있고 기타 등등 유용하게 활용 할만한게 많다. 아래를 실행해보고 소스코드를 보자! 1. build.gradle 수정하기 dataBinding{ enabled = true } *주의할 점 : enabled = true ; ';' 넣지 않기 자바랑 헷갈리지 않을 것! groovy 언어 2. xml 수정하기 xml 에 들어가서 기존 layout 자리..

[WEB] 웹의 동작 (HTTP 프로토콜 이해) 1.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의 이해 인터넷과 웹의 정의 인터넷과 HTTP 통신 웹의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 2. HTTP HTTP 란? HTTP 작동방식 3. 용어정리 URL / URI IP PORT NUMBER 4. 웹의 동작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 통신 5. HTTP 메세지 형식 HTTP 요청 메세지 형식 HTTP 응답 메세지 형식 1.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의 이해 ▶ 인터넷과 웹의 정의 -인터넷이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통신망이다. 즉 수많은 네트워크의 결합체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인터넷과 웹(WWW(world wide..